대손충당금적립비율, 대안정기, 대외의존도/수출입의존도/무역의존도, 대외지급준비자산, 대체비용리스크 용어 정리
대손충당금적립비율, 대안정기, 대외의존도/수출입의존도/무역의존도, 대외지급준비자산, 대체비용리스크 1) 대손충당금적립비율 · 대손충당금이란 기업이 보유하는 채권 중에서 거래상대방의 부도 등으로 받기 어려워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, 이런 손실을 충당하기 위해 미리 비용으로 처리하여 사내에 유보해둔 자금을 의미한다. · 은행은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등을 감안해 자산건전성을 분류하고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한다. · 대손충당금적립비율 = 은행이 적립한 대손충당금/고정이하여신 금액 2) 대안정기 · 1980년대 중반 이후, 2007년 금융위기 이전까지 약 20년간 일본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서 산출량 인플레이션 등 거시변수의 변동성이 크게 감소하여 경제가 안정을 누린 기간을 말한다. 3) 대외의존도/..
2020. 8. 23.
가계부실위험지수, 가계수지, 가계순저축률, 가계신용통계, 가계처분가능소득 용어 정리
1) 가계부실 위험지수(HDRI) · 가구 소득 흐름 + 금융, 실물 자산까지 고려하여 가계 부채의 부실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이다. · 원리금상환비율(DSR)과 부채/자산비율(DTA)을 결합해 산출한 지수이다. · DSR가 40%, DTA가 100%일 때, 가계부실위험지수는 100의 값을 갖는다. · HDRI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'위험가구'로 분류한다. 2) 가계수지 ·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과 지출을 비교하여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한 것 · 통계청은 표본 선정 가계에 가계부를 나누어주고 가계수지 통계를 발표합니다. · 소득항목 :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재산소득, 이전소득 · 비용항목 : 실료품비, 주거비, 수도광열비, 보건의료비, 교육비 3) 가계순저축률 · 가계의 저축성향을 잘 나타내주..
2020. 7. 2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