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) 국민부담률
· 조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이 명목 국내총생산(GDP)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.
· 조세부담률과 사회보장부담률을 합친 개념으로 조세부담률보다 포괄적으로 국민부담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이다.
2) 국민소득(NI)
· 넓은 의미의 국민소득은 한 나라 안에 있는 가계, 기업, 정부 등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에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화폐단위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국민총소득으로 불린다.
· 좁은 의미의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벌어들인 순수한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이다.
· 좁은 의미의 국민소득 = 국민총소득 - 감가상각 - 생산및수입세 + 보조금
= 국민순소득 - 생산및수입세 + 보조금
= 국민순소득 - 순생산및수입세
= 피용자보수 + 영업잉여
= 임금+지대+이자+이윤
3)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
· 국민소득이 생산, 지출, 분배의 3가지 관점 중 어느 부문에서 측정하더라도 항상 동일해야 한다는 사실을 국민소득 3등가의 법칙이라고 한다.
4) 국민처분가능소득
· 국민경제 전체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의 규모를 나타내는 것으로 국민계정의 중요한 총량지표 중 하나를 나타낸다.
5) 국민총소득(GNI)
·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말한다.
· 외국으로부터 국민이 받은 소득은 포함하고, 국내총생산 중 외국인에게 지금한 소득은 제외한다.
· 국민총소득 = 국내총생산+국외순수취요소소득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부펀드, 국외순수취경상이전, 국외순수취요소소득, 국외저축, 국제결제은행(BIS) 경제 용어 (0) | 2020.08.07 |
---|---|
[책리뷰] 10년 후 일자리 도감 - AI세대를 위한 직업 가이드 북 (0) | 2020.08.06 |
국내신용, 국내총생산(GDP), 국내총투자율, 국민계정체계(SNA), 국민대차대조표 용어 정리 (0) | 2020.08.04 |
국고금 실시간 전자이체, 국고대리점, 국고수표, 국고전산망, 국내공급물가지수 용어 정리 (0) | 2020.08.03 |
구인배율, 구조적 이익률, 국가경쟁력지수, 국가신용등급, 국가채무 (0) | 2020.08.0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