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) 내국신용장
· 국내 외국환은행이 수출업자의 의뢰에 따라 수출업자 앞 국제 신용장을 담보로 하는 등의 방식으로 국내 제조업자 또는 공급업자 앞으로 발행하는 신용장을 의미한다.
· 내국신용장은 수출업자가 수출용 수입원자제와 국내에서 생산된 수출용 원자재 또는 수출용 완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외국환은행이 동 물품대금의 지급을 보증하는 지급보증서의 일종이다.
· 국내거래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물품공급자는 물품공급 후 거래은행에 판매대금 추심을 의뢰함으로써 일반 상업어음보다는 물품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다.
2) 내부등급법
· 바젤 자본규제에서 정하고 있는 최소 요건을 충족하여 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은 은행이 자산군별로 리스크 측정 요소를 자체 측정모형을 통해 추정하고 이를 바젤위원회가 정한 내부등급법 산식에 대입해 신용리스크에 대한 위험가중자산을 산출하는 방법을 말한다.
· 기본내부등급법과 고급내부등급법으로 구성된다
기본내부등급법 : 부도율만 자체 추정 허용하고 나머지 요소들은 감독당국이 정한 값을 사용한다.
고급내부등급법 : 모든 리스크 측정 요소의 자체 추정을 허용한다.
· 내부등급법은 자본규제 체계의 리스크 민감도를 높이고 은행의 리스크 관리기법 개선을 촉진할 목적으로 도입되었다.
3) 내부자금
· 기업은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기업내부 또는 외부에서 조달하는데, 기업이 투자재원을 내부유보, 감가상각충당금 등에서 조달한 것을 내부자금이라고 한다.
cf) 외부자금 : 금융기관 차입, 유가증권 발행, 해외차입 등을 통해 조달한 것을 말한다.
· 내부유보 : 기업의 손익거래의 결과로 나타난 잉여금 중 사외유출분을 제외하고 사내에 유보된 이익잉여금을 말한다.
· 감가상각충당금 : 기계와 같은 유형자산은 사용, 시간의 경과로 노후화되므로 언젠가의 대체를 위해 기업이익 중 일부를 비축하는 것을 의미한다.
· 내부자금은 조달비용이 들지 않고, 이자나 배당을 지급할 필요가 없어 기업에게 유리한 자금이다.
4) 노동생산성/노동생산성지수
· 노동자 1인이 일정 기간 동안 산출해 내는 생산량을 의미하며 생산활동이 활발하면 노동생산성도 증가해 생산활동의 흐름을 파악하는 주요 지표이다.
· 노동생산성지수 = 산출량지수/노동투입량지수 X 100
5) 노동소득분배율
· 한 나라 국민의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은 노동, 자본, 경영 등의 생산요소를 제공한 경제주체에 나누어진다.
·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것 = 급여(피용자보수)
· 생산 활동을 주관한 생산주체의 몫 = 영업잉여
· 노동소득분배율은 피용자보수를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
노동소득분배율 = 피용자보수/(피용자보수+영업잉여) X 100
· 노동소득분배율은 노동의 가격이 자본의 가격보다 높을수록, 산업이 노동집약적일수록 그 값이 커진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일금리방식/복수금리방식, 담보인정비율(LTV), 당일결제/익일결제/익익일결제, 대기성 여수신제도, 대량지급 용어 정리 (0) | 2020.08.22 |
---|---|
녹색GDP, 녹색기후기금(GCF), 단기금융시장, 단리/복리, 단위노동비용 용어 정리 (0) | 2020.08.21 |
긴축정책, 낙수효과, 낙인효과, 난외거래, 납부자자동이체 용어 정리 (0) | 2020.08.19 |
기축통화, 기타기본자본, 기펜재, 기회비용, 긴급수입제한조치 경제 용어 정리 (0) | 2020.08.19 |
기저효과, 기준금리, 기준순환일, 기준환율, 기초가격 용어 정리 (0) | 2020.08.17 |
댓글